New World

[방통대] 정리집 | 이산수학 본문

Self-Study/Study

[방통대] 정리집 | 이산수학

hyeovi 2022. 5. 26. 23:02
728x90
반응형
강의 강의 내용
1강 1.1 이산수학 – 개관

1.2 모델링과 추상화

1.3 알고리즘 언어

1.4 이산수학의 응용분야

2강 명제
명제 : 참과 거짓을 구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수학적 식
명제 종류 : 합성명제, 조건명제, 쌍조건명제, 항진명제, 모순명제


논리연산
합성명제 : 하나 이상의 명제와 논리연산자 그리고 괄호로 이루어진 명제
논리합 : P v Q
논리곱 : P ㅅ Q
부정 : ~P
배타적 논리합 : XOR 사용, (P ㅅ~Q) v (~PㅅQ)

조건명제 : 조건의 역할을 수행하고 Q가 결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(비슷한 단어. 쌍조건명제)
동치 : 두 명제 p와 q가 논리적으로 동등하면 논리적 동치

술어논리

논리 : 명제 논리, 술어 논리

추론
3강 기본사항
공리 : 명제들을 증명하기 위해 전제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가정, 별도의 증명 X 참으로 이용
증명 : 특정한 공리들을 가정, 제안된 명제가 참임을 입증
정리 : 공리로부터 증명된 명제
- 보조정리 :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 중에 사용되는 증명된 명제
- 따름정리 : 정리로부터 쉽게 도출되는 부가적인 명제
 
직접증명법 (연역법)
명제 변형 X 증명, 공리와 정의, 정리를 논리적으로 직접 연결하여 증명
 
수학적 귀납법
자연수 n에 대한 명제의 성질을 증명
기본단계 => 귀납가정 => 귀납단계
기본단계 : n의 출발점에서 명제가 성립하는가 확인
귀납가정 : n = k 일 때, 명제가 성립한다고 가정
귀납단계 : n = k + 1 일 때도 명제가 성립함을 증명
 
간접증명법
증명해야 할 명제를 증명하기 쉬운 형태로 변형하여 증명
대우증명법 : P -> Q => ~Q -> ~P
모순증명법 : P -> Q 증명 시, ~P를 가정하면 모순 발생
-귀류법 : 오류로 귀착 , 배리법 : 이치에 어긋나게 됨
반례 증명법 : 전체 한정자가 포함된 명제가 거짓임을 증명
존재 증명법 : 존재 한정자가 포함된 명제가 참임을 증명
- 구성적 존재 증명법 : 명제함수를 증명할 때 P(x)를 참으로 만드는 x를 찾거나 찾는 과정
- 비구성적 존재 증명법 : 명제함수를 증명할 때 P(x)를 참으로 만드는 x를 찾지 않고 우회적으로 명제가 타당함을 보임
 
다양한 증명방법
전수 증명법 : 명제에서 유도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적을 때 일일이 모든 경우의 수를 조사
조합적 증명법 : 두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동일함을 증명
- 전단증명 : 원수가 n개인 집합 A와 원소가 m개인 집합 B를 찾은 후, 두 집합이 1:1 관계로 n = m임을 증명
- 중복산정 : 동일한 집합의 원소를 두 가지 방법으로 세어 결과가 n과 m이면 n = m임을 증명
 
컴퓨터 이용 증명법 : 증명하기 복잡한 경우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능력을 사용
ex)4색 정리
4강 & 5강 기본사항
집합 표기법
- 원소 : 𝒂 ∈ 𝑺, 𝒃 ∉ 𝑺
- 집합 : 𝑺 = {1, 2, 3} / 𝑺 = { 𝒙|𝟎 < 𝒙 < 𝟒 인 자연수}
- 집합의 크기 : |𝑺| = 3
 
부분집합 : A의 모든 원소가 B의 원소라면 A는 B의 부분집합 (𝑨 ⊆ 𝑩 ⇔ ∀x 또는 𝐀 ⊂ 𝑩 )
진부분집합 : 𝑨 ⊆ 𝑩, 𝑩 ⊆ 𝑨 ⇔ 𝑨 ⊆ 𝑩, 𝑨 ≠ 𝑩
상동 : 𝑨 = 𝑩 ⇔ 𝑨 ⊆ 𝑩 𝒂𝒏𝒅 𝑩 ⊆ 𝑨
서로소 : 서로 겹치는 원소가 없는 사이
분할 : 집합을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들로 나눌 때 그 집합의 모든 원소들이 각각 나눠진 부분집합들 중 하나에만 포함될 경우 전체 집합을 그 집합의 분할이라고 함
멱집합 : 집합의 모든 부분집합들의 집합 ( P(A) 로 표기)
 
집합연산
-합집합 : 전체 집합 | 𝑨 ∪ 𝑩 = {𝒙 ∈ 𝑼|𝒙 ∈ 𝑨 ∨ 𝒙 ∈ 𝑩}
-교집합 : 집합끼리 겹치는 부분집합 | 𝑨 ∩ 𝑩 = {𝒙 ∈ 𝑼|𝒙 ∈ 𝑨 ∧ 𝒙 ∈ 𝑩}
-차집합 : 집합에서 교집합을 제거한 집합 | 𝑨 − 𝑩 = {𝒙 ∈ 𝑼|𝒙 ∈ 𝑨 ∧ 𝒙 ∉ 𝑩}
-여집합 : 집합의 반전되는 영역 | 𝑨 𝒄 = 𝑼 − 𝑨 = {𝒙 ∈ 𝑼|𝒙 ∉ 𝑨}
-대칭차집합 : 합집합에서 교집합을 제거한 집합 | 𝑨⨁𝑩 = {𝒙 ∈ 𝑼|𝒙 ∈ 𝑨 ∪ 𝑩 ∧ 𝒙 ∉ 𝑨 ∩ 𝑩}
-곱집합 : 𝑨 × 𝑩 = 𝒂, 𝒃 𝒂 ∈ 𝑨, 𝒃 ∈ 𝑩 }
 
집합의 대수법칙
1. 집합의 크기에 관한 성질
합집합의 크기 : |𝑨 ∪ 𝑩| = |𝑨| + |𝑩| − |𝑨 ∩ 𝑩|
서로소인 집합의 합집합의 크기 : |𝑨 ∪ 𝑩| = |𝑨| + |𝑩|
 
2. 포함관계 및 항등식
원소 논증 : ∀𝒙 ∈ 𝑿 → 𝒙 ∈ Y
집합의 항등식 : 교환법칙, 결합법칙, 분배법칙, 항등법칙, 보수법칙, 이중보수법칙, 멱등법칙, 전체 합계 법칙, 드모르간의 법칙, 홉수 법칙, 𝑼와 ∅의 여집합, 차집합법칙
기본사항
행렬 : 행과 열로 구성되는 사각형 형태로 수를 배열
영행렬 : 모든 원소가 0인 행렬
 
행렬의 연산
1. 기본연산
행렬의 합, 차, 스칼라곱
 
합의 연산법칙 : 교환법칙, 결합법칙, 항등원, 역원
스칼라곱 연산법칙 : 결합법칙, 분배법칙
행렬의 곱 : 𝑨(𝒎 × 𝒏 행렬)와 𝑩(𝒏 × 𝒍)의 행렬의 곱 𝑨𝑩는 𝒎 × 𝒍 행렬
 
2. 가우스소거법
역행렬이 존재한다면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음
행 교환, 행 스케일링, 행 대체 연산
행제형 행렬 : 영행이 아닌 행은 영행의 위, 첫번째 0이 아닌 원소를 선도원소
소거행제형 : 선도원소가 포함된 열에서 선도원소를 제외한 모든 원소가 0인 행제형 행렬
 
행렬의 종류
정방행렬 : n x n 행렬을 n차 정방행렬, n을 차수, 대각 원소, 주대각선
대각행렬 : n차 정방행렬에서 대각원소 이외의 모든 원소가 0인 행렬
단위행렬 : n차 정방행렬에서 대각원소가 모두 1이고 나머지 원소는 모두 0인 행렬
대칭행렬 : 대각선을 따라 대각선을 통해 만나는 원소가 동일한 원소인 행렬
역대칭행렬 : 대칭행렬에서 음수로 동일값이 노출되며 n차 정방행렬에서 대각원소가 모두 0인 행렬
삼각행렬 : 상삼각행렬 or 하삼각행렬
상삼각행렬 : 주대각선 아래 있는 모든 원소가 0
하삼각행렬 : 주대각선 위에 있는 모든 원소가 0
전치행렬 : 행렬의 행과 열을 서로 교환한 행렬
역행렬 : 행렬이 역가능하는 것
 
부울행렬
부울행렬 : 행렬의 모든 원소가 부울값(0, 1)으로만 구성되는 행렬
부울행렬 합 : 𝑪 = 𝑨 ∨ B , 교차 : 𝑪 = 𝑨 ∧ B , 부울곱 : 𝑪 = 𝑨⨀B
6강 기본사항
곱집합 : 모든 순서쌍들의 집합
𝑨 × 𝑩 = 𝒂, 𝒃 𝒂 ∈ 𝑨, 𝒃 ∈ 𝑩}
 
관계 : 𝒙는 𝒚와 𝑹의 관계
(𝒙, 𝒚) ∈ 𝑹 ⇒ ⇒ 𝒙𝑹𝒚로 표기
𝑿 = 𝒀이면 𝑹을 𝑿에서의 관계
 
2. 관계의 표현

3. 관계의 성질


관계의 종류
역관계 현재 관계의 역으로 된 관계
𝑿, 𝒀 ∶ 집합 𝑹 ∶ 𝑿에서 𝒀로의 관계
𝑹 −𝟏 ∶ 𝑹의 역관계(inverse relation)

𝑹 −𝟏 = {(𝒚, 𝒙) | (𝒙, 𝒚) ∈ 𝑹 } ⊂ 𝒀 × 𝑿

 
합성관계
𝑨, 𝑩, 𝑪 ∶ 집합 𝑹 ∶ 𝑨에서 𝑩로의 관계, 𝑺 ∶ 𝑩에서 𝑪로의 관계
𝑹과 𝐒의 합성관계(composition relation)
𝑺 ∘ 𝑹 = {(𝒂, 𝒄) | 𝒂 ∈ 𝑨, 𝒃 ∈ 𝑩, 𝒄 ∈ 𝑪, (𝒂, 𝒃) ∈ 𝑹, (𝒃, 𝒄) ∈ 𝑺 }
𝑺 ∘ 𝑹 ⊂ 𝑨 × 𝑪 (𝑨에서 𝑪로의 관계)
 
𝑴𝑹은 𝒎 × 𝒏 부울행렬
𝑴𝑺은 𝒏 × 𝒑 부울행렬
𝑴𝑺∘𝑹은 𝒎 × 𝒑 부울행렬
=> 𝑴𝑺∘𝑹 = 𝑴𝑹⊙𝑴𝑺
 
동치관계 : 반사적, 대칭적, 추이적인 관계
동치류 : 동치관계에 있는 집합
𝑨 ∶ 집합
𝑹 ∶ 𝑨에서의 동치관계
𝑨의 임의의 원소 𝒂에 대해서 |𝒂| = {𝒙 ∈ 𝑨 (𝒂, 𝒙) ∈ 𝑹} 를 𝒂의 동치류
 
7강 기본사항
X, Y : 집합
X에서 Y로의 함수 : ∀𝒙 ∈ 𝑿, ∃! 𝒚 ∈ 𝒀, 𝒙, 𝒚 ∈ 𝒇 를 만족하는 𝑿에서 𝒀로의 관계 [ 𝒇 ⊂ 𝑿 × 𝒀 ]
X : f의 정의역, Y : f의 공역
y : x의 상 f(x), x : y의 역상

f(x) : f의 치역

상수함수 : 𝒇 ∶ 𝑿 → 𝒀, ∀𝒙 ∈ 𝑿, 𝒇 (𝒙) = 𝒄 (𝒄는 상수)
항등함수 : 𝒇 ∶ 𝑿 → 𝑿, ∀𝒙 ∈ 𝑿, 𝒇 (𝒙) = 𝒙
 
전사함수, 단사함수, 역함수

역함수 : 전단사함수인 경우 역관계의 함수
 
함수의 종류
계승함수 :
바닥함수 : 실수 x에 대해 x보다 작거나 같으면서 가장 큰 정수를 구하는 함수
|𝒙| = 𝒎𝒂𝒙 {𝒎 ∈ ℤ | 𝒎 ≤ 𝒙 }
 
천장함수 : 실수 x에 대해 x보다 크거나 같으면서 가장 작은 정수를 구하는 함수
|𝒙| = 𝒎𝒊𝒏 {𝒏 ∈ ℤ | 𝒙 ≤ 𝒏 }
 
나머지 함수 : 정수 n과 양의 정수 m에 대해 n을 m으로 나눴을때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
8강 기본사항
디지털 논리회로 : 디지털 신호로 입력하여 논리연산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출력
AND 게이트 : 논리곱, F = X· Y
OR 게이트 : 논리합, F = X + Y
NOT 게이트 : 논리부정, F = X'
NAND 게이트 : F = 𝑿' + 𝒀'
NOR 게이트 : F = X'· Y'
XOR 게이트 : 배타적 논리합, F = 𝑿'𝒀 + 𝑿𝒀'
XNOR 게이트 : F = 𝑿'𝒀' + 𝑿𝒀
 
부울대수
항등법칙 : 같은 값, 𝑿 + 𝟎 = 𝑿  | 𝑿 ∙ 𝟏 = 𝑿
지배법칙 : 더해지거나 곱해지는 값과 같은 값, 𝑿 + 𝟏 = 𝟏  | 𝑿 ∙ 𝟎 = 𝟎
멱등법칙 : 같은 값을 더하거나 곱하면 나오는 값이 더하거나 곱한 값과 동일, 𝑿 + 𝑿 = 𝑿 | 𝑿 ∙ 𝑿 = 𝑿 
부정법칙 : 부정하는 값을 통해 나오는 값들, 𝑿 + 𝑿' = 1 | 𝑿 ∙ 𝑿' = 𝟎 | 𝑿' = 𝑿 
교환법칙 : 앞항과 뒷항의 값이 같은 값, 𝑿 + 𝒀 = 𝒀 + 𝑿  | 𝑿 ∙ 𝒀 = 𝒀 ∙ 𝑿 
결합법칙 : 결합하여도 나오는 값이 동일, 𝑿 + 𝒀 + 𝒁 = 𝑿 + 𝒀 + 𝒁 | 𝑿 ∙ (𝒀 ∙ 𝒁) = (𝑿 ∙ 𝒀) ∙ 𝒁
분배법칙 : 나누어도 나오는 값이 동일, 𝑿 ∙ 𝒀 + 𝒁 = 𝑿 ∙ 𝒀 + 𝑿 ∙ 𝒁  | 𝑿 + 𝒀 ∙ 𝒁 = (𝑿 + 𝒀) ∙ (𝑿 + 𝒁)
드모르간 법칙 : (𝑿 + 𝒀)' = 𝑿'∙ 𝒀' | (𝑿 ∙ 𝒀)' = 𝑿' + 𝒀'
흡수 법칙 : 값이 흡수되는 값, 𝑿 + 𝑿 ∙ 𝒀 = 𝑿 | 𝑿 ∙ (𝑿 + 𝒀) = 𝑿 
 
쌍대성 원리 : 부울식에서 논리곱과 논리합을 서로 바꾸고 논리 상수를 서로 바꾸면 원래 부울식의 쌍대
부울함수의 보수
-드모르간 법칙
-쌍대성 원리 이용 (F의 쌍대, F의 쌍대에서 정상형과 보수형을 서로 바꿈)
 
부울함수의 대수적 간소화
항결합 : 두개의 항을 결합하여 하나의 항으로 만드는 방법
문자소거 : 중복된 문자를 제거
중복항 첨가 : 부울함수의 진리값이 변하지 않도록 하면서 간소화를 위한 적절한 항을 첨가
9강 & 10강 기본사항
그래프는 꼭지점과 변으로 구성
병렬변 : 두 꼭지점을 연결하는 변이 복수개
루프 : 동일한 꼭지점을 연결하는 변
고립된 꼭지점 : 어떠한 변도 연결 X 꼭지점
 
동형 : 꼭지점과 변의 이름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그래프
방향 그래프 : 변이 방향을 가지는 그래프
무향 그래프 : 변이 방향이 없는 그래프
단순 그래프 : 루프와 병렬 변을 가지지 않는 무향 그래프
 
𝑮 = 𝑽, 𝑬 , 𝑯 = (𝑽 ′ , 𝑬′)
(1) 𝑽 ′ ⊆ 𝑽, 𝑬 ′ ⊆ 𝑬 ⇒ 𝑯를 𝑮의 부분 그래프(subgraph)
(2) 𝑽 ′ = 𝑽, 𝑬 ′ ⊆ 𝑬 ⇒ 𝑯를 𝑮의 신장 부분 그래프 (spanning subgraph)
 
총 차수 : 인접한 변의 개수
진입차수 : 들어오는 변의 개수
진출차수 : 나가는 변의 개수
 
path ⊂ trail ⊂ walk
워크 : 꼭지점과 변들을 순서대로 나열
트레일 : 변들이 서로 다른 것
경로 : 꼭지점이 모두 다른 것
 
그래프 종류
완전 그래프 : 임의의 두 꼭지점을 연결하는 변이 항상 존재
이분 그래프 : 연결 성분이 분할되어 모든 변들이 꼭지점을 인접시키는 경우
완전 이분 그래프 : 완전한 이분 그래프
k-정규 그래프 : 모든 꼭지점들이 동일한 수의 인접한 꼭지점을 갖는 그래프
 
그래프 표현
발생 행렬 : 꼭지점을 행으로 변을 열로 하여 발생관계를 표현
인접 행렬 : 꼭지점을 행과 열로 하여 꼭지점과 꼭지점 사이의 인접관계를 표현
인접 리스트 : 각 꼭지점에 인접하는 꼭지점들을 차례로 연결 리스트로 표현
그래프의 탐색
평면그래프 : 모든 변을 서로 교차하지 않게 그릴 수 있는 그래프 (정규, 완전 그래프)
ex) 오일러의 공식, 4색 정리
 
오일러 투어 : 모든 변들을 각각 한번만 지나는 트레일
- 연결 그래프가 오일러 투어를 가지기 위해서는 모든 꼭지점의 차수는 짝수
 
해밀턴 경로 : 모든 꼭지점들을 한번씩만 지나는 경로
 
그래프의 활용
가중 그래프 : 그래프의 각 변에 실수값(가중치)이 붙여진 그래프
ex) 최단 경로 문제, 최소 신장 트리 문제
11강 기본사항
트리 : 사이클이 없는 단순 연결 그래프
Trivial Tree : 꼭지점 하나로 구성된 트리
Empty Tree : 꼭지점이 하나도 없는 트리
Forest : 한 개 이상의 트리로 구성된 트리
 
루트 트리 : 루트라 부르는 노드가 존재하며 나머지 노드들이 서로 분리된 집합으로 나뉘는 트리
트리 -> 루트 트리 (서브트리, 루트 노드)
 
이진 트리
공집합이거나 모든 노드가 최대 2개의 서브트리를 갖는 루트 노드인 트리
완전 이진 트리 : 왼쪽 노드부터 차례로 채워진 이진트리
- 같은 노드 수를 갖는 트리 중 최소 높이
-n개의 노드를 갖는 이진 트리의 최소 높이 : 𝑯𝒎𝒊𝒏 = |𝒍𝒐𝒈𝟐n|
 
포화 이진트리 : 모든 노드가 채워진 이진 트리
 
이진 탐색 트리
정의 : 모든 노드가 탐색을 위한 키값을 가지며 왼쪽 서브트리의 키값들은 해당 키값보다 작아야 한다
검색:
1. 루트 노드로 설정
2. 주어진 키를 비교
-일치 : 키 반환, 탐색 멈추기
-노드보다 작으면 : 왼쪽 자식을 탐색 노드로 설정, 왼쪽이 없을 경우 키 없음을 반환하며 탐색 멈추기
-노드보다 크면 : 오른쪽 자식을 탐색 노드로 설정, 오른쪽이 없을 경우 키 없음을 반환하며 탐색 멈추기
3. 2번 과정을 반복
 
트리의 활용
신장 트리 : 그래프의 모든 꼭지점을 포함하는 트리
최소 신장 트리 : 모든 변의 가중치 합을 총 가중치라 할 때, 가장 작은 신장 트리
 
Kruskal 알고리즘
1. 가중치의 오름차순으로 변을 정렬
2.가장 작은 변부터 차례대로 트리에 추가
3. 모든 꼭지점이 연결될 때까지 2반복
 
Prim 알고리즘
1. 꼭지점 하나를 트리에 추가
2. 트리와 연결된 꼭지점 중 가장 작은 가중치의 변으로 연결된 꼭지점을 추가
3. 2번 과정 반복
12강 기본 계수 법칙
두 사건 A, B가 일어날 경우의 수가 각각 N(A) = m, N(B) = n일 때,
 
곱의 법칙 : A, B가 동시에 일어날 경우의 수는 m x n
합의 법칙 : 𝑨 ∩ 𝑩 = ∅일때,  A 또는 B가 일어날 경우의 수는 m + n
 
합집합의 크기
- 유한집합
|𝑨 ∪ 𝑩| = |𝑨| + |𝑩| − |𝑨 ∩ 𝑩|
|𝑨 ∪ 𝑩 ∪ 𝑪| = |𝑨| + |𝑩| + |𝑪| − |𝑨 ∩ 𝑩| − |𝑨 ∩ 𝑪| − |𝑩 ∩ 𝑪| + |𝑨 ∩ 𝑩 ∩ 𝑪|
 
- 유한집합 + 서로소
|𝑨 ∪ 𝑩| = |𝑨| + |𝑩|
 
순열
순열, 중복순열, 원순열
 
조합
𝟎 ≤ 𝒓 ≤ 𝒏을 만족하는 정수 𝒓, 𝒏 에 대하여, 𝒏개의 원소를 갖는 집합에서 𝒓 개의 원소를 순서 없이 뽑는 경우의 수
 
이산확률
표본공간: 실험의 모든 결과의 집합
사건: 표본공간의 부분집합
수학적 확률 :
표본공간 𝑺가 유한하며 각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모두 동일 하다고 가정할 때 사건 𝑬(⊂ 𝑺) 가 발생할 확률
 
조건부 확률 :
표본공간 𝑺에 두 사건 𝑨, 𝑩가 있고, 𝑷 𝑩 > 𝟎이라고 하자. 사건 𝑩가 발생했다는 가정하에 사건 𝑨가 발생할 확률
 
점화식
점화식 : 수열의 항 사이에서 성립하는 관계식
 
비둘기집 원리
13강 나눗셈
a, b가 정수, a가 0이 아닐 때, b=ac 를 만족시키는 정수 c가 있다면 a가 b를 나머지 없이 나눈다
=> a는 b의 약수(인수), 배수는 a|b로 표현
 
최대공약수 : d = gcd(a, b)로 표현, 0이 아닌 두 정수 a,b에 대해 d|a, d|b인 최대의 양의 정수 d를 a와 b의 최대 공약수
gcd(a,b) = 1인 경우, a,b는 서로소
 
베주의 항등식 : 적어도 하나는 0이 아닌 두 정수 a,b가 gcd(a, b) = d라 할 때, ax + by = d를 만족하는 정수 x, y 존재
- a,b가 서로소 => gcd(a,b) = 1 => ∃𝒙, 𝒚 ∈ 𝒁, 𝒂𝒙 + 𝒃𝒚 = 1
 
유클리드 호제법(알고리즘)
- 2개의 자연수 또는 정식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
- 두수가 서로 상대방 수를 나눠 원하는 수를 얻는 알고리즘
- a,b,q,r 가 정수면, a = bq + r이면 gcd(a,b)=gcd(b,r)
 
나머지 연산
나머지 함수 : 정수 n과 양의 정수 m에 대해 n을 m으로 나눴을 때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, n mod m으로 표기
모듈로 합동 : a, b가 정수 m이 양의 정수면, a-b가 m으로 나눠떨어지면 a와 b는 모듈로-m 합동, a = b(mod m)으로 표기
a mod m = b mod m이 필요충분조건
 
소수와 소인수분해
소수 :1보다 큰 자연수 p는 p의 양의 인수가 1과 p뿐일 때
합성수 :1보다 크면서 소수가 아닌 자연수
소인수 : 주어진 자연수의 약수 중에서 소수인 것
소인수분해 : 합성수를 소인수들의 곱으로 표현
 
소수 판별법
- 만약 n이 합성수라면, n의 소인수 중 하나는 루트n보다 같거나 작다
 
가장 큰 소수 찾기
- 𝟐^𝒑 − 𝟏 (단, 𝒑는 소수 | 합성수일 경우 소수가 아님)
 
소수 정리

RSA 암호


14강 오토마타
자동장치, 스스로 움직이는 기계 ex) 컴퓨터 : 유한상태 오토마타
튜링머신 : 인간 사고과정을 구현하는 오토마타, 컴퓨터의 수학적 모델
형식언어 :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일반적인 특성들을 추상화
형식문법 : 프로그래밍 언어의 생성 규칙을 추상화
 
유한 오토마타

마르코프 연쇄

마르코프 성질을 지닌 이산확률과정
- 유한 오토마타의 특수한 형태
- 시간에 따른 상태의 변화를 확률로 표현
 
이산확률과정
- 𝑿n : 확률변수
- (𝑿𝟏,𝑿𝟐, … ,𝑿𝒏, … ) : 이산학률과정, 이산적인 시간 흐름에서 순차적으로 관측되는 확률변수의 모임
 
마르코프 성질 : 무기억성, 미래 상태는 오직 현재 상태에만 영향을 받는다는 성질
정상 마르코프 연쇄 : 전이 확률의 불변성, 시간의 변화에 무관하다는 성질
전이확률 : 상태 집합에서 현재 상태에서 다음 상태로 전이될 확률
 
표현방법 : 전이확률행렬, 상태전이도
전이확률행렬 : 행렬을 나타내는 것, 𝑷 = (𝑷𝒊𝒋)
상태전이도 : 상태와 상태전이확률을 도식화, 유한 오토마타를 표현하는 상태그래프와 기본적으로 동일
 
n단계 전이확률 : 채프만 콜모고로프 방정식, 페이지랭크
채프만 콜모고로프 방정식 :
현재 [𝒕 = 𝒎]상태 i 에서 n 단계 이후 [𝒕 = 𝒎 + 𝒏] 에 상태가 j 가 될 확률
페이지 랭크 : 페이지에 방문학 확률
 
형식 언어와 형식 문법
형식언어 : 유한한 기호들의 집합을 이용해 만들어지는 문자열의 집합 ex) 알파벳과 문자열, 언어의 연산
형식문법 : 형식 언어의 문자열들을 생성해 낼 수 있는 유한개의 규칙 ex)구구조 문법, 유도
 
Chomsky 계층
무제약 문법 : 제 0 유형, 생성 규칙이 𝜶 → 𝜷, 단 𝜶 ∈ (𝑽 ∪ 𝑻) + ,𝜷 ∈ (𝑽 ∪ 𝑻) ∗
문맥 의존 문법 : 제1유형, 𝜶 → 𝜷, 단 𝜶,𝜷 ∈ (𝑽 ∪ 𝑻) + , |𝜶| ≤ |𝜷|, 생성의 우변이 좌변보다 길이가 작을 수  X
문맥 자유 문법 : 제2유형, 𝑨 → 𝜷, 단 𝑨 ∈ 𝑽, 𝜷 ∈ (𝑽 ∪ 𝑻) ∗
정규 문법 : 제3유형, 𝑨 → 𝜶 혹은 𝑨 → 𝜶𝑩, 단 𝑨, 𝑩 ∈ 𝑽, 𝜶 ∈ 𝑻 ∗ ex) 우선형 문법, 좌선형 문법
 

 

반응형
Comments